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4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나책형 4번 문제다.

    상황판단에서 자주 보는 그런 표다. 주석에 유의하자. 내가 사실 주석 1번 놓치고 그냥 풀었는데 신기하게 맞았...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ㄷ, ㄹ

     

    ㄱ. 최종점수는 ‘정’이 ‘을’보다 낮다. (X)

    정의 최종점수는 40점을 제하고 81+94.5=175.5점이다. 을의 최종점수는 빈칸을 채워야 하는데, 1차 시기에서는 84, 88점을 제한 평균 87점, 3차 시기에서는 77, 81점을 제한 평균 79점이다. 더하면 166점. 정의 최종점수가 더 높다. 굳이 평균내지 않고 각 시기별 심사점수끼리 비교할 수도 있다. 차이가 워낙 명확하다 보니….  을 1차 < 정 2차, 을 3차 < 정 1차가 성립한다.

     

    ㄴ. 3차 시기의 평균점수는 ‘갑’이 ‘병’보다 낮다. (X)

    병의 3차 시기 평균점수는 68, 74점을 제한 평균 71점이다. 갑의 3차 시기 평균점수는 최소한 93.5점이다.만약 빈칸이 92점보다 낮으면 92+95/2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갑의 평균점수가 더 높다.

     

    ㄷ. ‘정’이 1차 시기에서 심사위원 A ~ D에게 10점씩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면, 최종점수가 가장 높다. (O)

    이러면 1차 시기 평균점수가 고대로 10점 올라가고, 최종점수 역시 10점 올라간다. 185.5점이 되는데 이보다 높은 최종점수를 기록한 사람은 없다.

     

    ㄹ. 1차 시기에서 심사위원 C는 4명의 선수 모두에게 심사위원 A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O)

    단순비교다. 갑 88 < 89, 을 84 < 87, 병 74 < 85, 정 79 < 80. 봐야 할 칸만 헷갈리지 않으면 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주석 신경 쓰기가 은근 귀찮다. 비슷한 유형의 자료가 많이 나오니 기출에 익숙해진 경우 슥 보고 슥 풀었을 것..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