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14번 해설 (가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상황판단
- 2021. 11. 17.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8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4번 문제다.
구조가 눈에 확 들어오는 지문이다. 키워드 매칭은 시간 문제겠지? 선거제도 공부했으면 거저 먹을 수 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8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1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ㄷ, ㄹ
ㄱ. 일본 참의원의 임기는 프랑스 상원의원의 임기와 같다. (O)
(문단2) 일본 참의원과 프랑스 상원의원 모두 임기가 6년이다.
ㄴ. 미국은 2년마다 전체 상원의원을 새로 선출한다. (X)
(문단2) 보기 ㄱ에서 본 부분을 또 본다. 미국은 상원의원을 매 2년마다 1/3씩 선출한다. 2년마다 전체 상원의원을 새로 선출하는 게 아니다. 1/3씩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면 좀 더 올라가서 '의회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고려하여 전체 의석 중 일부만 교체하기도 한다'를 읽어보자.
ㄷ. 우리나라에서는 국회의원 당선인이 임기 개시 전 사망한 경우 재선거가 실시된다. (O)
(문단3) 우리나라에서는 당선인의 임기 개시 전 사망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 재선거를 실시한다.
ㄹ. 다수대표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의원이 임기 중 사망하였을 때 보궐선거를 실시한다. (O)
(문단4) 보궐선거는 의원이 임기 중 사망하는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의정 활동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실시하는 선거인데, 다수대표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국가는 보궐선거를 실시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외국 선거제도에 아예 문외한이라면 1/3씩이 뭐지? 하고 있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