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35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1. 22.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35번 문제다.
저 대각선 그어진 표를 보면 '으윽' 하는 마음이 생기기 마련이다. 왠지 덧셈뺄셈을 해야 할 것 같고 밑에는 빈칸도 있고…. 다 안 더해도 될지 모른다. 침착하게 접근하자.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3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ㄱ, ㄷ, ㄹ
㉠ 전출자 수가 가장 큰 지역은 A이다. (O)
<표 1>에서 가로로 더한 값이 가장 큰 지역을 찾으면 된다. 일단 백의 자리가 죄다 1인 C는 거른다. A, B, D끼리 비교하는데, 각 지역의 가장 큰 수→두 번째로 큰 수→가장 작은 수끼리 비교한다.
가장 큰 수: A 390(+88) - D 310(+8) - B 302
두 번째로 큰 수: B 260(+70) - D 220(+30) - A 190
가장 작은 수: A 145(+22) - D 130(+7) - B 123
플러스 값을 가장 많이 얻은 A가 가장 크다. 물론 이 사고가 더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고, 그럼 그냥 다 더해버리면 된다. (사실 나도 다 더하는 게 편해서 그렇게 했다. 다 더해버리는 과정이 뇌정지가 온다면 써먹어보자.)
*위의 저걸 정리하면 A는 +110, B는 +70, D는 +45다. 이는 A가 B보다 40 크고, B가 D보다 25 큼을 의미한다.
㉡ 전입자 수가 가장 큰 지역은 A, B, D 지역으로부터 총 577명이 전입한 C이다. (X)
<표 1>에서 세로로 더한 값이 전입자 수다. 당장 C 옆의 D가 더 많다는 게 뻔히 보인다.
㉢ 2016년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D이며 (O)
C와 D 빈칸을 채워야 하는데, 전출자와 전입자 수를 각각 다 구할 필요는 없다. 이미지에 선 그은 것처럼 대각선으로 연결해서 그 차이를 더하자. 대각선으로 연결하면 저쪽 도시로 전출나간 사람과 저쪽 도시에서 전입 온 사람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
C: A지역 -20(145-165), B지역 +117(302-185), D지역 +20(130-110). C지역의 인구는 117명 증가했다. 2016년에는 3048명.
D: A지역 +80(390-310), B지역 +40(260-220), C지역 -20(110-130). D지역의 인구는 100명 증가했다. 2016년에는 3180명.
D지역 인구가 가장 많다.
㉣ 2015년과 2016년의 인구 차이가 가장 큰 지역은 A이다. (O)
A지역 인구 차는 127명이다. C, D지역은 앞서 117명, 100명으로 구해놨고 B지역은 90명 차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무작정 덧셈해도 뭐… 빨리 풀 계산능력만 있다면 무방하지만 아이디어형 풀이를 시도해보도록 하자.
해설강의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7년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