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1번 해설 (4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2. 3.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4책형 1번 문제다.
흔히 나오는 구조의 자료다. 가구수와 인구수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1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ㄴ, ㄹ
ㄱ. 1804년 대비 1867년의 가구당 인구수는 증가하였다. (X)
1804년의 가구당 인구수는 8 정도다. 1867년은 7도 안된다.
ㄴ. 1765년 상민가구 수는 1804년 양반가구 수보다 적다. (O)
1765년 상민가구는 72의 57%, 1804년 양반가구는 86의 53%다. 당연히 후자가 더 많다.
*자릿수가 같으므로 앞 두 자리만 떼서 간단하게 생각한다.
ㄷ. 노비가구 수는 1804년이 1765년보다는 적고 1867년보다는 많다. (X)
노비가구 구성비가 친절하게 2배씩 차이 난다. 1765년에서 1804년, 1867년으로 오면서 계속 절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각 조사시기마다 가구수가 직전 조사시기의 2배를 초과하면 노비가구 수가 증가한다(반대로 2배 미만이면 노비가구 수 감소). 1765년→1804년에는 가구수가 2배가 안되니 감소가 맞으나, 1804년→1867년에는 가구수가 2배를 훌쩍 넘어가니 노비가구 수도 증가했다. 1804년이 1867년보다 적다.
ㄹ. 1729년 대비 1765년에 상민가구 구성비는 감소하였고 상민가구 수는 증가하였다. (O)
구성비 감소한 건 바로 보일 것이다. 구성비 감소율이 3%쯤 되는데(59 중 2), 해당 구간 가구수는 1480에서 7210으로 훌~쩍 뛰었다. 구성비 쬐끔 감소한 건 티도 안 날 것이다. 상민가구 수 증가가 맞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기초 문제다.
해설강의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6년 5급 자료해석 4책형 1번~2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