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36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나책형 36번 문제다.

    강화약화 문제다. 각 실험의 성격을 빨리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3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ㄱ, ㄴ, ㄷ

     

    주장 ㄱ~ㄷ에 대응하는 실험 A, B의 성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A: 한 차례 연결 / 간격 30분 / 주장 ㄷ과 무관

    실험 B: 여러 차례 연결 / 간격 없음 / 자극 종류마다 다름

    이를 바탕으로 보기를 판단한다.

     

    <오답 해설>

     

    ㄱ. <실험 A>는 ㉠을 약화하지만 ㉢을 약화하지 않는다. (O)

    ㉠은 중립적 자극과 무조건 자극이 여러 차례 연결되어야 조건화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실험 A>에서는 자극을 한 차례만 연결했는데도 조건화에 성공했다. 따라서 ㉠을 약화한다. ㉢은 무조건/중립적 자극의 종류가 조건화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주장인데, <실험 A>에서는 조건화된 자극(실험군)이 하나밖에 없어 조건화 정도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을 강화하지도 약화하지도 못한다.

     

    ㄴ. <실험 B>는 ㉠을 약화하지 않지만 ㉢을 약화한다. (O)

    <실험 B>는 중립적 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여러 차례 연결해 조건화에 성공했으므로 ㉠을 약화하지 않는다. 한편, <실험 B>에서는 중립적 자극으로 '밝은 물'과 '단물', 무조건 자극으로 '방사능'과 '전기 충격' 각각 두 종류씩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 자극의 종류에 따라 조건화 정도가 달라졌으므로 ㉢을 약화한다.

     

    ㄷ. <실험 A>는 ㉡을 약화하지만 <실험 B>는 ㉡을 약화하지 않는다. (O)

    ㉡은 중립적 자극과 무조건 자극 간 간격이 0~1초 정도로 충분히 짧아야 조건화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실험 A>에서는 30분의 간격을 두고도 조건화에 성공했으므로 ㉡을 약화한다. 반면 <실험 B>에서는 중립적 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동시에 가해 조건화에 성공했으므로 ㉡을 약화하지 않는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36번 프리미엄 해설

    이건 꽤 재미있는 문항으로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다. 처음 피셋을 풀 때 접했던 실험 문제. 발문을 읽으러 가기 전, 레이아웃 관찰 단계에서 이미 실험 문제고 실험이 두 개나 있다는 것 정도는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무난한 실험분석과 무난한 선지.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증 비교·분석, 강화·약화, 지지·반박, 실험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