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7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8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가책형 7번 문제다.

    뭔데 지문이 이렇게 긴가? 정작 문제 풀 때는 반 정도밖에 안 읽었다. 뭐, 덩치 큰 문제들이 다 그렇지.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8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7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 지구가 공전한다면, 달은 지구를 따라다니지 못한다

    ㄱ과 ㄴ 중 하나다. 넣어서 맞춰보면 된다. 굳이 기호화를 하면 해설 이미지처럼 정리가 된다. 지구가 공전한다면 달이 지구를 못 따라다니는데, 달이 지구를 항상 따라다닌다면 지구가 공전을 안 하는 것이다. 만약 ㄴ을 집어넣으면 (가)와 (나)를 조합해도 (다)가 나올 수 없다. 명제의 '이'는 참, 거짓과 관련이 없다.

     

    ⓑ. 낮에 육안으로 관찰한 금성의 크기 변화와 밤에 망원경을 통해 본 금성의 크기 변화가 유사하다

    갈릴레오는 밤에 금성을 관찰할 때 망원경을 사용하면 빛 번짐 현상을 없앨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육안으로 금성을 관찰할 경우 낮에 관찰하는 게 더 정확하며, 이때 연중 금성의 외견상 크기가 변한다고 했다. 따라서 육안-낮과 망원경-밤의 관측 결과 크기 변화가 비슷하다면 (라)~(바)의 논증이 성립한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18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7번 프리미엄 해설

    덩치가 매우 크지만, 이렇게 형식 딱딱 보이고 빈칸까지 뚫려 있으면 덩칫값(?)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 겁먹지 말고 드가자. 알파벳 원문자 빈칸이 위아래로 보인다. 위의 것부터 본다. (가) [ ⓐ ].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b 풀 때는 글을 약간 읽어 줘야 한다. 앞처럼 (가)~(다)만 보고는 못 푼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리퀴즈와 논리 지문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다. 인쇄해 제본할 경우,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