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23번~24번 해설 (나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상황판단
- 2021. 9. 26.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나책형 23번~24번문제다.
으아… 좀 길다. 시험지 세로를 꽉 채우는 분량이라 시선이 좀 어질했을 수 있다. 여기로 넘어왔을 때도 40분이 안 지나간 시점이라 그나마 여유롭게 볼 수 있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23번~24번 해설·풀이과정
<23번 정답: 1번>
□□부 장관이 요구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통합과 관련한 주민투표가 실시된 경우에는 통합권고안에 대해 지방의회의 의견을 청취하지 않아도 된다.
세 번째 단락에 있다. □□부 장관은 지방자치단체 간 통합권고안에 관해 해당 지방의회의 의견을 들어야 하지만, □□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해 해당 지자체장에게 주민투표를 요구해 실시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23번 오답 해설>
② 지방의회가 의결을 통해 다른 지방자치단체와의 통합을 추진하고자 한다면 통합건의서는 시·도지사를 경유하지 않고 △△위원회에 직접 제출해야 한다.
(단락2) 지방의회가 위원회에 통합을 건의할 때에는 시·도지사를 경유해야 한다. 통합건의서를 접수받은 시·도지사는 의견을 첨부해 지체 없이 이를 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③ 주민투표권자 총수가 10만 명인 지방자치단체의 주민들이 다른 인근 지방자치단체와의 통합을 △△위원회에 건의하고자 할 때, 주민 200명의 연서가 있으면 가능하다.
(단락2) 주민이 건의하는 경우에는 주민투표권자 총수의 50분의 1 이상의 연서가 필요하다. 10만 명의 50분의 1(2%)은 2000명이다.
④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위원은 □□부 장관과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추천하는 자로 한다.
(단락5)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위원은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그 지방의회가 추천하는 자로 한다. □□부 장관은 아니다.
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을 △△위원회에 건의할 때,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단락2)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는 내용은 없다.
<24번 정답: 2번>
35명
마지막 단락 쪽에 수식이 있다.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전체 위원 수를 구하려면 일단 수식에 따라 산출된 '관계지방자치단체 위원 수'를 알아야 한다. 수식 속에 들어갈 숫자들을 따져보자.
통합대상 지방자치단체 수: A군, B군, C군, D군이 통합 대상이다. 4개.
통합대상 지방자치단체를 관할하는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의 수: 甲도, 乙도, 丙도가 있다. 3개.
관계지방자치단체 수: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정의가 단락4에 있다. '통합대상 지방자치단체 및 이를 관할하는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가 관계지방자치단체다. 위에 구해놓은 두 개 더하면 된다. 7개다.
수식에 넣으면 4 × 6 + (3 × 2 + 1) ÷ 7 = 31 ÷ 7. 나누면 4.x가 나올 텐데 이때 주의. 단락5 마지막 문장을 보자. 결과값이 자연수가 아니면 소수점 이하의 수를 올림한 값을 관계지방자치단체 위원 수로 한다. 따라서 관계지방자치단체 위원 수는 5명이다.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전체 위원 수는 여기에 관계지방자치단체 수를 곱한 값이다. 5명×7개=35명.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정의를 캐치하는 것도 함정이고, 소수점 이하 올림도 함정이다. 둘 다 피해가야 해서 상당히 까다롭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24번 풀면서 분명 이게 최고 오답률 문항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쉽게(?) 2위에 그쳤다. 4번 선택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걸 보면 대부분 소수점 이하 올림 함정에 빠져 31÷7×7=31로 계산한 듯.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23번 75.1%, 24번 22.3%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23번 3번 8.9%, 24번 4번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