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25번 해설 (나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상황판단
- 2021. 9. 26.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나책형 25번 문제다.
이번에 시험 보면서 감이 안 온 유일한 문제다. 시간이 많이 남아 있어서 좀 오래 봤던 것 같은데 더 봐도 감 안 잡힐 것 같아서(한 10분은 더 볼 수 있었다) GG치고 시험 끝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7급 PSAT 상황판단 2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 10020 ㉡ 10033
○○시가 광역자치단체일 때와 기초자치단체일 때 각각 A구의 코드로 가능한 것을 묻고 있다. 조건을 차례대로 보자.
○ 행정구역분류코드의 ‘처음 두 자리’는 광역자치단체인 시·도를 의미하는 고유한 값이다.
만약 ○○시가 광역자치단체라면 처음 두 자리인 '10'은 ○○시를 의미하는 고유한 값이다. 따라서 A구의 코드에서도 처음 두 자리는 10이어야 한다. 만약 ○○시가 기초자치단체라면, '10'은 ○○시가 속해 있는 어떤 광역자치단체를 의미하는 고유한 값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처음 두 자리는 10이어야 한다. 5번을 소거한다.
○ ‘그 다음 두 자리’는 광역자치단체인 시·도에 속하는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를 의미하는 고유한 값이다. 단, 광역자치단체인 시에 속하는 기초자치단체는 군·구이다.
○○시가 광역자치단체인 경우부터 생각해보자. 그럼 B구는 광역자치단체인 시에 속하는 구가 되므로, B구의 '그 다음 두 자리'인 '03'은 B구의 고유한 값이다. 따라서 이 경우 A구의 3~4번째 자리는 '03'일 수 없다. 3번을 소거한다.
○○시가 기초자치단체라면 어떨까? 이 경우에는 '03'이 B구의 고유한 값이 아니라 ○○시의 고유한 값이 된다. ○○시가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속하는 시가 되기 때문이다. A구와 B구는 모두 ○○시에 있으므로, A구도 B구와 마찬가지로 3~4번째 자리가 '03'이어야 한다. 1번과 4번을 소거하고 정답은 2번.
한편 마지막 자리는 ○○시가 광역자치단체일 때에는 A구가 기초자치단체이므로 0이고, ○○시가 기초자치단체일 때에는 A구가 자치단체가 아니므로 0이 아닌 임의의 숫자이기만 하면 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상판은 이렇게 이상하게 감 안 오는 문제가 하나쯤 있을 수 있다. 그럴 땐 제끼고 나중에 돌아오든가 하자.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47.3%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1번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