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언어논리 23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언어논리
- 2021. 11. 19.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문제다.
소설 얘기 나오길래 매우 반가웠으나 딱히 안다고 말할 수는 없는 내용이라 반가움 퇴장했다. 짧은 글인데 선지 판단할 때 자꾸 헷갈리더라.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언어논리 2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과학적, 논리적 추론 과정의 정립은 한국식 탐정소설의 다양한 형식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과학적, 논리적 추론 과정'은 문단2에서 언급한 서구의 고전적 탐정소설 유형과 연결할 수 있다. 그런데 1930년대의 탐정소설이 현대로 오면서 서구의 고전적 탐정소설로 귀착되고, 탐정소설과 다른 대중 소설 장르의 결합은 사라졌다. 다양한 형식 발전과는 거리가 멀다.
<오답 해설>
① 1930년대 우리나라에서 ‘탐정’이라는 말은 현재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졌다.
(문단2) 현재로 오면서 '탐정'의 범위가 협소해졌다.
② 서구의 고전적 탐정소설은 과학적 수사와 논리적 추론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문단1, 2) 정답 해설에서도 쓴 부분이다. 오늘날의 탐정소설은 과학적 수사와 논리적 추론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데, 오늘날의 탐정소설이 서구의 고전적 탐정소설 유형이라는 걸 문단2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③ 오늘날 우리나라 탐정소설에서는 기괴한 이야기가 가진 환상적 매력을 발견하기 어렵다.
(문단2) 거의 선지 그대로 적혀 있다.
⑤ 1930년대 우리나라 탐정소설은 서구 번역 탐정소설과 한국의 대중 소설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
(문단1) 서구 번역 탐정소설이 미친 영향력 못지않게 국내에서 유행하던 대중 소설 장르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한번 낚였다가 정신차린 게 함정…이긴 하지만 그래도 평이한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