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4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가책형 4번 문제다.

    PSAT이 암기지식이 필요 없는 시험인 건 사실이지만 어디까지나 필요조건이 아니라는 얘기지, 머릿속에 아무것도 안 든 사람과 어느 정도 지식을 갖춘 사람이 똑같은 선에 서서 경쟁하는 시험은 아니다. 그 차이가 보통 지문 독해할 때 나온다. 내게 이 소재는 너무 친근하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2000년대 초 연준의 금리 인하로 국공채에 투자한 퇴직자의 소득이 줄어들어 금융업으로부터 정부로 부가 이동하였다.

     

    문단4 첫 문장 참조. 2000년대 초 연준의 금리 인하로 국공차에 투자한 퇴직자의 소득이 감소한 건 사실이지만, 부는 금융업→정부 방향이 아니라 정부→금융업 방향으로 이동했다.

     

    <오답 해설>

     

    ② 2000년대 초 연준은 고용 증대를 기대하고 금리를 인하했지만 결과적으로 고용 증대가 더 어려워지도록 만들었다.

    (문단5) 연준은 2000년대 초 고용 증대를 기대하고 저금리 정책을 시행했지만, 이는 '노동을 자본으로 대체하는 투자'를 증대시켰다. 노동력이 풍부한 상황인데도 노동을 절약하는 방향의 혁신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와 해당 문단에 제시된 사례로 미루어 보아, 저금리 정책은 고용 증대가 더 어려워지도록 만들었다.

     

    ③ 2000년대 초 기술 산업 거품의 붕괴로 인한 경기 침체기에 설비 가동률은 대부분의 부문에서 낮은 상태였다.

    2000년대 초가 '기술 산업 거품 붕괴로 인한 경기 침체기'라는 건 문단1에서, 설비 가동률이 대부분의 부문에서 낮은 상태였다는 건 문단3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④ 2000년대 초 연준이 금리 인하 정책을 시행한 후 주택 가격과 주식 가격은 상승하였다.

    주택 가격 상승은 문단3에서, 주가 상승은 문단4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⑤ 금리 인상은 부동산 거품 대응 정책 가운데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 아닐 수 있다.

    (문단2) '부동산 거품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금리 인상보다 주택 담보 대출에 대한 규제가 더 합리적'이라고 했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단순한 내용확인 문제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