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16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문제다.

    여러모로 헷갈렸던 논증 분석 문제다.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풀 때는 헷갈리더라. 답 하나는 확실히 나와서 그나마 다행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9년 5급 PSAT 언어논리 1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에 따르면 보호대상이면서 문화재인 것은 모두 인간의 창작물이어야 한다.

     

    A국 정부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문화재는 인간의 창작물'이고 '문화재는 모두 보호대상'이다. 따라서 보호대상이면서 문화재인 것은 모두 인간의 창작물이다.

     

    <오답 해설>

     

    ① ㉠에 따르면 학술상의 가치를 지니지 않은 A국의 인공물은 모두 문화재에서 제외되어야 마땅하다.

    ㉠은 'A국에서 보호대상으로 분류된 자연물'에 관한 견해다. ㉠이 학술상의 가치를 지니지 않은 A국의 '인공물'을 어떻게 보는지는 알 수 없다.

     

    ② ㉡에 따르면 화석은 인류가 보존하고 공유해야 할 무형의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

    ㉡은 인간이 자연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 자체가 자연물을 문화재로 볼 근거로써 충분하지 않다는 견해다. 특정 자연물에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는 이와 무관하다.

     

    ④ ㉣에 따르면 B국에서 문화재로 분류된 사물은 모두 자연 환경의 영향을 받았다.

    ㉣에 따르면 B국에서 '예술과 풍속의 기반으로서의 자연물'은 보호대상이 되며, 모든 보호대상은 문화재에 포함된다. 이걸로는 B국에서 문화재로 분류된 사물이 모두 자연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지 전혀 알 수 없다.

     

    ⑤ ㉠ ~ ㉣ 중에 자연물을 문화재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하는 것은 둘이다.

    ㉠ ~ ㉣ 중 ㉢만 자연물을 문화재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한다. ㉠, ㉣은 자연물이 문화재에 포함된다고 보거나 그렇게 설명한다. ㉡은 좀 헷갈릴 수 있는데, 이 견해는 자연물을 '우리가 가치가 크다고 여기기 때문에' 문화재로 여긴다면 근거가 부족한 거라고 볼 뿐, 자연물을 문화재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하는 견해는 아니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해설 쓰고 보니까 많은 별은 못 주겠고, 그렇다고 내가 무진장 쉽게 푼 것도 아니라서 하나 줄 수도 없고… 그래서 별 두 개 준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