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19번 해설 (A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A책형 19번 문제다.

    엥 이거 투자 얘기 아니냐? 참 재미난 내용이다.

     

    ▶ 2014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1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경작하는 밭들을 일정 군데 이상으로 분산시킨다면 기아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이 통계 자료들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했으니, 지문 속 통계들이 ‘경작할 밭들을 한 곳에 모아 놓았을 경우’와 ‘여러 곳으로 분산시켰을 경우’ 중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는지 살펴보면 되겠다.

     

    Q가 기아를 피하기 위한 단위면적당 연간 수확량은 334g이다. 이걸 임의로 ‘기아 기준’이라고 하자. 문단2에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한 구역에 몰아 심었을 때는 ‘기아 기준’ 밑으로 떨어진 해가 1/3을 넘었다. 6군데로 분산해 심었을 때도 기아의 위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았다. 그런데 7군데 이상으로 분산했을 때에는 수확량이 매년 ‘기아 기준’을 훌쩍 넘겼다.

     

    이는 정답 선지와 같이 경작하는 밭들을 일정 군데 이상(자료에서는 7군데 이상)으로 분산시키면 기아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오답 해설>

     

    ① 넓은 면적을 경작하는 것은 기아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딴소리다. 단위면적당 연간 수확량을 따지고 있으니 면적이 넓든 좁든 상관없다.

     

    ③ 경작할 밭들을 몇 군데로 분산시켜야 단위면적 당 연간 수확량이 최대가 되는지는 가구마다 다르다.

    없는 얘기다.

     

    ④ 경작하는 밭들을 여러 군데로 분산시킬수록 단위면적 당 연간 수확량의 평균이 증가하여 기아의 위험이 감소한다.

    평균에 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⑤ 경작하는 밭들을 여러 군데로 분산시킬수록 단위면적 당 연간 수확량의 최댓값은 증가하여 기아의 위험이 감소한다.

    최댓값에 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14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 19번 프리미엄 해설

    논증실험이론 #6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문제다. 실험 설계 구조를 잘 파악할 지식이 있으면 매우 수월하게 필요한 정보만 쏙쏙 골라먹을 수 있다. 발문에서 그냥 ㉠을 물었으니 우선 ㉠ 문장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좀 매력적인 선지가 하나쯤 있으면 좋을 것 같았는데.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증 비교·분석, 강화·약화, 지지·반박, 실험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