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4번~25번 문제다. 화려한 피날레를 노린 건지 자료가 3개고 세트 문항이라 피셋을 처음 하는 7급 준비생들이 좀 당황할 수 있는 문제다. 주석 활용이 좀 까다로웠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4번~25번 해설·풀이과정 ㄱ, ㄹ ㄱ. 2010 ~ 2017년 세계 조선업 수주량의 국가별 점유율 (O) 보고서 문단1을 작성하는 데 필요하다. ㄴ. 2014 ~ 2016년 국내 조선업 건조량 (X) 보고서에 국내 조선업 건조량이 나오긴 하지만, 이건 주석을 활용해 이미 구할 수 있는 값이다. 추가로 필요하지 않다. ㄷ. 2014 ~ 2016년 중국 조선..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3번 문제다. 얘는 온라인 모고 때 좀 짜증이 치밀었다. 안 그래도 내 작은 모니터 속의 작은 브라우저 속의 작은 시험지 칸에 문제 조그맣게 띄워놓고 보는데, 세로 막대형 그래프라 수치가 90도 돌아가 있다. 유형 자체는 중학교 이전 수학책에서나 나올 법한 간단한 구조.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3번 해설·풀이과정 2003년 인구(백만 명) 47, 2019년 인구 1만 명당 교통사고 건수(건) 65 일단 'n명당 무엇'의 계산식부터 짚고 가자. 무엇 ÷ 인구수 × n명 = n명당 무엇 2003년 인구(백만명) 47 인구 앞 두 자리가 44인지 4..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2번 문제다. 특수자료다. 종종 이렇게 생겨먹은 자료들로 문제를 내니 수험생이라면 대비는 해야 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2번 해설·풀이과정 비용이 가장 적은 제품 A, 비용이 가장 많은 제품 B 비용이 가장 적은 제품: A 이 공정에서 비용이 가장 적게 들려면 어느 화살표를 따라가야 할지 생각해보자. '오염도 측정'은 피할 수 없는 첫 단계라서 고정비용이다. 오염도 측정 후 오염도가 10을 초과하면 폐기 수순을 밟는데, '폐기'에는 비용이 안 든다(아래 비용 표에 없으면 없는 거다). 즉 오염도가 10을 초과하는 제품이 있으면 그게 답인데..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1번 문제다. 암산, 그리고 백분율의 직관적 파악에 능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풀이 시간에 차이가 클 것 같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1번 해설·풀이과정 2,279 A: 선용품공급업-1,413 그냥 영업이익이 가장 큰 업종을 찾으면 그만이라 가장 쉬운 빈칸이다. 정답 구할 때 영업이익 더하는 실수는 하지 말자. B: 하역업-65 10%를 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업종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두 열을 훑으면서, 한 자릿수 차이가 나면서 앞자리가 '매출액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0번 문제다. 증가율 역산은 내 전문분야(?)라 편히 임했던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0번 해설·풀이과정 ㄱ, ㄴ, ㄷ ㄱ. 2015년 와인 생산량 상위 8개국 중 와인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많은 국가는 1개이다. (O) 이 기준이라는 데 유의하자. 미국만 소비량이 더 많다. 표 1에 있는데 표 2에 없다면 무조건 소비량이 더 적은 것이다. ㄴ. 2015년 와인 생산량 상위 8개국만 와인 생산량이 각각 10 %씩 증가했다면, 2015년 세계 와인 생산량은 30,000천 L 이상이었을 것이다. (O) 2015년 세계 와인 생산량은 상위 8개..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9번 문제다. 굉장히 조그만 자료인데 뇌정지 오기 딱 좋다. 가중평균 베이스가 부족하다면 방정식 세워서 한참 돌아가거나 대입법으로 때려맞혀야 하는 문제.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9번 해설·풀이과정 항복강도 평가에서 불합격한 SD600 샘플 수는 최종 불합격한 SD500 샘플 수와 같다. 전체 항복강도 합격률이 SD400~SD600 각각의 항복강도 합격률의 가중평균값이다. 이때 각 철근강도의 '샘플 수'가 가중치에 해당한다. 산술평균의 경우 단순히 편차의 합이 0이 되지만, 가중평균은 편차×가중치의 합이 0이 된다. 즉 SD400은 편차 +4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8번 문제다. 온라인 모고 때 무진장 애먹었던 문제다. 문제에 바로 필기를 못하니까 계산은 해놨는데 그게 뭘 계산해놓은 건지 헷갈리더라. 머리가 좀 더 좋았으면… ㅜ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8번 해설·풀이과정 주요 7개 지역 중 피해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D 지역이다. 피해밀도 계산 시 피해액은 분자, 행정면적은 분모다. D 바로 위의 C와 비교해서 풀었다. C는 분자가 D의 0.5배 미만인데 분모는 D의 0.5배를 초과한다. 분자는 작아지고 분모는 커졌으니 C의 피해밀도가 D보다 낮다. 잘 이해가 안 된다면 C의 분자와 분모에 2를 곱해보자..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문제다. 자료 양이 많고 (내가) 제일 싫어하는 가중치까지 들어 있어 짜증나는 문제다. 이런 문제에서 길 한 번 잘못 들면 시간 순삭당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해설·풀이과정 일본의 ‘활용’ 영역 원점수가 중국의 ‘활용’ 영역 원점수로 같아지면 국가별 종합순위는 바뀐다. 현재 중국과 일본의 종합점수 차는 5점 이상이다. 활용 영역 가중치가 0.25(1/4)이므로, 원점수 20점이 종합점수 5점에 해당한다. 그런데 일본의 활용 원점수가 중국과 같아지더라도 상승폭이 20점 미만이다. 종합점수로 환산하면 5점도 안..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6번 문제다. 복잡할 게 없는 간단한 표고, 빈칸도 눈으로 금방금방 채울 수 있게 생겼다. 거의 기본기 체크 문제라서 온라인 때도 '잘 먹겠습니다~' 하고 넘어간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6번 해설·풀이과정 ㄱ, ㄷ ㄱ. E 정당 전체 당선자 중 ‘가’ 권역 당선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 % 이상이다. (O) E 정당 전체 당선자는 11명, 그중 '가' 권역 당선자는 7명이다. 직관적으로 60% 이상이라고 판단 가능하다(만약 직관적으로 안 보인다면, 이 정도 판단은 보자마자 될 정도로 연습해야 한다). ㄴ. 당선자 수의 합은 ‘가’ 권역..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5번 문제다. 주석을 해석해야 하는 문제다. 저렇게 주어진 식들을 요리조리 뒤집고 비벼서(?) 문제 푸는 데 써먹는 게 자료해석 영역의 기본기라면 기본기일 듯.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5번 해설·풀이과정 A 주석 1, 2, 3에서 임도=작업임도+간선임도이며, 100-작업임도 비율=간선임도 비율이라는 것까지 알아낼 수 있다. 즉 의 작업임도 비율을 보고 우측의 간선임도 길이가 전체의 몇 퍼센트인지까지 계산할 수 있는 셈이다. A의 작업임도 비율이 30%라면 간선임도 비율은 70%이고, 70%가 70이니 100%(임도 길이)는 100이다. 이런 식..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4번 문제다. 굉장히 낯익은 문제다. 5급에도 관측기호가 나왔었기 때문.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간단한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4번 해설·풀이과정 ㄱ, ㄷ 보기 3개가 모두 '적합'한 날 세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맑음'과 '흐림'이 아닌 날씨는 미리 지워놓고 시작한다. 비행과 촬영 둘 다 체크해야 하니 둘로 나뉘어 있는 '허가신청 결과'에 체크하는 게 편할 것이다. 지자기지수와 풍속 기준을 미리 본 뒤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내려오며 비행/촬영에 적합한 날을 체크한다. 이때 '불허'는 그냥 내려가고 '허가'일 경우에만 좌측의 지자기..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3번 문제다. 흔히 나오는 형태의 자료가 아니라 당황할 수도 있다. 다만 자료 형태가 낯설다고 해도 못 풀 문제는 아니다. 정석대로 풀든 다른 방법을 쓰든 충분히 풀고 넘어갈 수 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3번 해설·풀이과정 ㄱ, ㄹ 칸수를 세서 비교하자. 가로가 10칸, 세로가 20칸이니 전체가 200칸이다. 만약 정확한 대수를 물어본다면 1칸당 4대로 환산하면 된다. 칸수를 셀 때는 가로×세로를 활용하자. ㄱ. 이륙 중에 인적오류로 추락한 항공기 수는 착륙 중에 원인불명으로 추락한 항공기 수의 12배 이상이다. (O) 이륙 중 인적오류는..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2번 문제다. 피셋을 아예 처음 보는 국7 수험생이 이 문제를 봤으면 멘탈이 사알짝 갈렸을 것 같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2번 해설·풀이과정 주거비가 40만 원 이하인 가구의 의복비는 각각 10만 원 이상이다. 주거비가 40만 원 이하인 가구는 에서 확인할 수 있고 A, B, C 3개 가구다. 의복비는 필수생활비에서 (주거비+식비)를 빼서 구할 수 있고, A, B, C의 (주거비+식비)는 에 다 드러나 있다. A는 120, B는 90, C는 110이다. 이걸 확인한 뒤 로 내려와서 A, B, C의 필수생활비를 보면 된다. B의 필수생활비는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1번 문제다. 조건에 따른 표 계산 문제다. 5급 PSAT 자료해석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만 5급보다는 자료의 양이 많이 적은 편이다. 조건 검증도 5급에 비하면 간단하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1번 해설·풀이과정 A 우주청, B 혁신청, C 과학청, D 문화청 검증하기 쉬운 조건부터 찾아가야 한다. 위부터 순서대로 조건1~4라고 부르겠다. 1. 조건2에 따라 문화청이 D임을 확정한다. D의 전체 심사결과 중 '관련없음' 비중은 100%(9건 중 9건)다. 나머지는 다 100%가 안된다. 문화청이 D이므로 선지 1, 3번이 소거된다. 2. 조..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0번 문제다. 표 생김새가 보나마나 백분율을 물어보겠구나… 생각하면서 선지 봤더니 증말 백분율이 나와버림. 온라인 모고 때 앞에 9문제 어찌어찌 풀고 넘어와서 얘 보고 '걍 끄고 나중에 풀까?' 5초 정도 고민한 것 같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0번 해설·풀이과정 공공기관 유형별 신규채용 합격자 중 여성 비중 이런 문제는 보통 실수치 → 비중, 변화율 → 구성비 순서대로 보는데 선지가 딱 그 순서대로 배치되었다. 3번 그래프의 2018년-공기업이 틀렸다. 이걸 오답 근거로 제시하는 이유는, 3번 차트에서 25%가 가장 검증하기 쉬운 숫자이기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9번 문제다. 찍힌 점이 많을수록 풀기 거지같아지는 자료. 다행히 이 문제에는 5개 국가밖에 없고, 주석도 쉽고 계산도 쉽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9번 해설·풀이과정 ㄱ, ㄴ ㄱ. 산업용 전기요금은 일본이 가장 비싸고 가정용 전기요금은 독일이 가장 비싸다. (O) 모든 국가의 지수가 같은 분모를 공유하기 때문에 지수가 높을수록 비싼 나라다. 가정용은 가장 오른쪽에, 산업용은 가장 위쪽에 찍힌 국가가 가장 비싼 국가다. 일본이 가장 위에 있고, 독일이 가장 오른쪽에 있다. ㄴ. OECD 평균 전기요금은 가정용이 산업용의 1.5배 이상이다. (O)..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문제다. 뭐랄까 어디서 많이 본 유형 같기도 하고, 이런 형태는 풀이가 익숙해서 온라인 모고 때도 금방 풀고 넘어갔던 문제다. 포인트를 못 잡으면 물론 오래 걸린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해설·풀이과정 ㄱ, ㄷ ㄱ. 출발 후 6 km 지점을 먼저 통과한 선수부터 나열하면 A, C, D, B 순이다. (O) 풀 때는 검증하지 않은 선지다. 직관적으로 어느 정도 때려맞힐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거라는 보장도 없고, 정확한 계산이 필요해지면 골치아프기 때문. 일단 A는 굳이 계산할 필요도 없다. 죄다 5분 25초 이내로 들어왔는데 그나마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7번 문제다. 온라인 모고 때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였다. 안 그래도 내 모니터 세로로 안 돌아가서 시험지 쪼끄맣게 해놓고 보는데 숫자가 진짜 더럽게 눈에 안 들어옴….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7번 해설·풀이과정 이미지에서 빨강→파랑→초록→주황 순서대로 보고 풀었다. 먼저 '메뉴 가격 변동 없음'에서 특선식 이용자가 952 이상이거나 일반식 이용자가 1210 이상인(2018년 12월에 비해 감소하지 않은) 그래프를 소거한다. 1번 그래프에서 일반식 이용자가 2018년 12월보다 증가했으므로 소거한다. '특선식만 1,000원 인상'에서 특선식 이용자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6번 문제다. 가중치도 없고 그냥 평가 기준대로 점수만 매기면 되는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6번 해설·풀이과정 가장 높은 지역 B, 가장 낮은 지역 E 해설할 것도 없는 문제다. 평가 기준대로 점수를 매기면 다음 표와 같다. A B C D E 경사길이 20 30 20 10 0 모암 10 0 30 20 30 경사위치 10 20 10 30 20 사면형 0 30 20 30 10 토심 30 20 10 20 10 경사도 10 30 20 10 0 총점 80 130 110 120 70 산사태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B, 가장 낮은 지역은 E다.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5번 문제다. 주석 계산이 쬐끔 까다로웠을 수 있는 문제다. 다만 자료 자체는 아주 쉬운 편이라 응시자를 괴롭히기엔 역부족이다. (아닌가?)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5번 해설·풀이과정 해당 연도 1~12월 중 최대전력수요가 가장 큰 달과 가장 작은 달의 최대전력수요 차이는 2018년이 2019년보다 작다. 2018년 최대전력수요가 가장 큰 달은 2월(7879), 가장 작은 달은 5월(6407)이다. 차는 약 1500. 2019년 최대전력수요가 가장 큰 달은 8월(8518), 가장 작은 달은 4월(6577)이다. 차는 약 2000. 직관적으로 201..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4번 문제다. 온라인 모고 응시할 때 이 문제에서 처음으로 5급의 냄새를 맡았다. 동시에 후회를 시작했지. 객기 부리지 말고 그냥 나중에 제대로 풀걸…. 맞히긴 했는데 확실히 눈으로 보고 풀 때랑 필기하면서 풀 때랑 속도 자체가 다르더라.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4번 해설·풀이과정 A와 C 지역의 해양수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으로 일정하다. A와 C가 둘 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이라고 하니, 2등급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값이 하나라도 있는지 반례를 체크하면 된다. 2등급 기준은 DO 2.0 이상, COD 2.0 이하..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 문제다. 온라인 모의고사 때 이제 슬슬 시동이 걸리는가 싶었던 문제다. 선지가 무지 착하게(?) 설계돼 있어 편하게 풀고 넘어갈 수 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 해설·풀이과정 ㄱ, ㄴ ㄱ. 2015년 대비 2019년 사고건수의 증가율은 ‘공급자 취급부주의’가 ‘시설미비’보다 작다. (O) 제시된 기간, '공급자 취급부주의'는 23건에서 29건으로 6건 증가했고, '시설미비'는 18건에서 24건으로 6건 증가했다. 증가율에서 분자에 증가량, 분모에 원 값이 들어가는데 서로 증가량이 같다. 분자가 같으면 분모가 큰 쪽이 더 작은 수다. ㄴ..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번 문제다. 평균을 이용한 간단한 문제인데, 보이는 대로 간단하고 쉽다. 풀이과정이 정 감이 안 오더라도… 아니 애초에 풀이과정이랄 게 별로 없긴 하지만 선지 보고 때려맞히는 것도 가능한 수준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2번 해설·풀이과정 B 70, E 47 A와 C의 판매량이 같으므로 C도 95이고, A+C+F=233이다. 6개 평균이 70이므로 합은 420이고, 나머지 B+D+E가 187이라는 것까지 알아낼 수 있다. B와 D의 판매량이 같고 E는 D보다 23개 적다고 하니 B×2+E=187이다. 이게 성립하는 선지를 찾으면 되고 1번밖에 ..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번 문제다. 안 그래도 화면 보고 풀어서 짜증나는데 1번부터 표/그래프 자료전환 문제 던져주시는 인혁처 클라쓰. 아, 물론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그냥 자료전환 유형 자체가 짜증날 뿐이다. 침착만 하면 무지 쉽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1번 해설·풀이과정 관람객의 연령대별 5대 축제 관련 정보 획득 매체 형광펜 칠한 부분과 대조하면 직관적으로 풀린다. 50대 이상에서는 TV를 통해 정보를 획득한 관람객 수(35.0%)가 가장 많았다. 현수막은 29.5%로 2위다. ① 5대 축제별 취업자 수와 고용인 수 에서 D 축제의 취업자 수와 고용인 수가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